군사독재정권 기간 인권탄압 관련 정보 교환 합의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정부가 과거사 청산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
6일(현지시간) 브라질 국영 뉴스통신 아젠시아 브라질에 따르면 양국 정부는 이날 1970~1980년대 군사독재정권 시절 저질러진 인권탄압 행위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기로 합의했다.
브라질 수도 브라질리아에서 열린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 각료회담에 참석한 엑토르 티메르만 아르헨티나 외교장관과 루이스 알마그로 우루과이 외교장관은 이 같은 내용의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1976~1983년, 우루과이에선 1973~1985년 군사독재정권이 득세했었다.
아르헨티나 인권단체들은 '더러운 전쟁'으로 불리는 군사정권 기간에 3만여 명이 납치·고문·살해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중 대부분은 600여 곳의 비밀수용소에서 처형된 채 사라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루과이 인권단체들은 군정 기간 4천700여 명이 체포돼 고문을 당했으며, 이 가운데 200~250명이 수감 중 사망하거나 실종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 군사정권은 좌파 인사 색출을 위해 벌어진 '콘도르 작전'에도 참여했다.
'콘도르 작전'은 1975년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남미 6개국 군사정권 정보기관 책임자들의 합의로 진행됐다.
겉으로는 좌익 게릴라 세력 척결을 내세웠으나 실제는 반체제 성향의 사회·노동운동가, 지식인들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추적·납치·살해 행위를 저질렀다. '콘도르 작전'으로 10만여 명이 사망하고 40만여 명이 고문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 정부는 지난 5월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국가진실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진실위는 지난 9월부터 '콘도르 작전'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진실위는 "남미 6개국 군사정권은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은밀하게 만나 작전을 모의했다"면서 "'콘도르 작전'은 군사정권의 조직적이고 중대한 인권 탄압 행위였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