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Languages
    • Korean
    • English
    • Español
    • Português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LAKIS)

중남미지역원(IIAS)
인사말 중남미지역원 소개 LAKIS소개 뉴스와 공지사항 HK사업 개요 HK+사업 개요 언론보도 지역원규정/매뉴얼 공동일정
Library
전문자료실 지역원 학술지 원문제공 지역원 연구총서 해외학술지 정보 연구자료/전문보고서
Academy
학술대회 콜로키엄 초청강연회 정기세미나 협동연구 전문가연구실 학술지투고신청
Training
학부연계전공 대학원 프로그램 해외파견프로그램 연구보조원 프로그램 현지문화체험단
Infomation
국가별 기초정보 최신동향 이슈분석 현장리포트 라키스 TV 주제별 DB 인물로보는 라틴아메리카 여행정보 라틴아메리카 여행기 웹진 라틴아메리카 이미지 갤러리 비주얼 지식정보
Network
협정기관 전문가네트워크 한인넷 유관기관
라틴아메리카 인문학센터
인문학센터 소개 평생교육 및 소외계층 인문교육 시민강좌 중남미 명저 읽기 세계시민교육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사회소통프로그램
중남미지역원(IIAS)
  • 인사말
  • 중남미지역원소개
  • LAKIS소개
  • 뉴스와 공지사항
  • HK사업 개요
  • HK+사업 개요
  • 언론보도
  • 지역원규정/매뉴얼
  • 공동일정
Library
  • 전문자료실
  • 지역원 학술지 원문제공
  • 지역원 연구총서
  • 해외학술지 정보
  • 연구자료/전문보고서
Academy
  • 학술대회
  • 콜로키엄
  • 초청강연회
  • 정기세미나
  • 협동연구
  • 전문가연구실
  • 학술지투고신청
Training
  • 학부연계전공
  • 대학원 프로그램
  • 해외파견프로그램
  • 연구보조원 프로그램
  • 현지문화체험단
Information
  • 국가별 기초정보
  • 최신동향
  • 이슈분석
  • 현장리포트
  • 라키스 TV
  • 주제별 DB
  • 인물로보는 라틴아메리카
  • 여행정보
  • 라틴아메리카 여행기
  • 웹진 라틴아메리카
  • 이미지 갤러리
  • 비주얼 지식정보
Network
  • 협정기관
  • 전문가네트워크
  • 한인넷
  • 유관기관
라틴아메리카 인문학센터
  • 인문학센터 소개
  • 평생교육 및 소외계층 인문교육
  • 시민강좌
  • 중남미 명저 읽기
  • 세계시민교육
  •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 사회소통프로그램

네비게이션

  • 회원가입
  • 로그인
  • 중남미지역원(IIAS)
    • 인사말
    • 중남미지역원소개
    • LAKIS소개
    • 뉴스와 공지사항
    • HK사업 개요
    • HK+사업 개요
    • 언론보도
    • 지역원규정/매뉴얼
    • 공동일정
  • Library
    • 전문자료실
    • 지역원 학술지 원문제공
    • 지역원 연구총서
    • 해외학술지 정보
    • 연구자료/전문보고서
  • Academy
    • 학술대회
    • 콜로키엄
    • 초청강연회
    • 정기세미나
    • 협동연구
    • 전문가연구실
    • 학술지투고신청
  • Training
    • 학부연계전공
    • 대학원 프로그램
    • 해외파견프로그램
    • 연구보조원 프로그램
    • 현지문화체험단
  • Information
    • 국가별 기초정보
    • 최신동향
    • 이슈분석
    • 현장리포트
    • 라키스 TV
    • 주제별 DB
    • 인물로보는 라틴아메리카
    • 여행정보
    • 라틴아메리카 여행기
    • 웹진 라틴아메리카
    • 이미지 갤러리
    • 비주얼 지식정보
  • Network
    • 협정기관
    • 전문가네트워크
    • 한인넷
    • 유관기관
  • 라틴아메리카 인문학센터
    • 인문학센터 소개
    • 평생교육 및 소외계층 인문교육
    • 시민강좌
    • 중남미 명저 읽기
    • 세계시민교육
    •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 사회소통프로그램
  • 홈
  • Library
    • 중남미지역원(IIAS)
    • Library
    • Academy
    • Training
    • Information
    • Network
    • 라틴아메리카 인문학센터
  • 전문자료실
    • 전문도서관
    • 전문자료실
    • 지역원 학술지 원문제공
    • 지역원 연구총서
    • 해외학술지 정보
    • 연구자료/전문보고서

전문자료실

  • 즐겨찾기
  • share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Twitter카카오스토리
    • Twitter네이버밴드
    • URL CopyURL Copy
  • 프린트

번역의 원리 : 異문화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upload/userFile/2014/4/12/696.jpg
상세보기 입니다.
저자 히라코 요시오 역자 김한식, 김나정
출판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일 2007
총페이지 275 p 분야 (국내)언어
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ISBN 9788974644178 청구기호 EM0000446415
자료실 등록번호 696 색인청구기호 IAS 701.7 평71번김
북리뷰링크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74644178&orderClick=LAG&Kc=#N
TAB MENU
저자소개 역자소개 목차 서평
머리말

제1장 번역사의 지위 - 번역사는 단순한 '중개인'이 아니다/ 1
1.1 번역사의 주체성이 발휘되는 두 단계/ 3
1.1.1 해석/ 3
1.1.2 표현/ 6
1.2 번역사의 권한/ 8
1.2.1 번역의 의의
1.2.2 번역의 창조적 측면
1.3 번역사의 일/ 13
1.3.1 번역의 대상은 빠롤
1.3.2 '실용'이라는 관점
1.4 번역에 필요한 지식/ 21
1.4.1 세계지식과 언어지식
1.4.2 텍스트 대응 원칙
1.4.3 번역론과 언어학

제2장 번역의 원리 - 번역은 사전을 찾는 작업이 아니다/ 29
2.1 사전은'이용'하는 것/ 31
2.2 출발어 텍스트를 의미등가적 도착어 텍스트로 표현하기/ 32
2.2.1 출발어 텍스트와 도착어 텍스트
2.2.2 텍스트
2.3'의미'란 무엇인가/ 35
2.3.1 의미란 가치이다
2.3.2 번역은 의미를 둘러싼 두 개의 통사론적 행위
2.4'의미등가'에 대해서/ 44
2.4.1 코세리우가 분류한 세 가지 '의미'
2.4.2 의미 등가
2.5 두 개의 언어관/ 50
2.5.1 언어도구설
2.5.2 언어세계관설
2.5.3 언어초월적으로

제3장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번역(1)
─ 서로 다른 분절체계 간의 교류/ 59
3.1 일본어에 대한 의식적 사고/ 61
3.1.1 통사적 자립성이 약하다는 것
3.1.2 절대자를 대신해 상황이 기준이 된다는 것
3.1.3 부분의 독립
3.2 언어와 분절/ 74
3.2.1 분절의 개념
3.2.2 외국어를 아는 것은 새로운 분절을 아는 것
3.3 세계관의 대비/ 80
3.3.1 일본어의 세밀한 분절
3.3.2 '언어접촉'으로서의 번역

제4장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번역(2)
─ 일본어'문장'과 영어'sentence'/ 97
4.1 영문법으로 일본어를 설명하는 오류/ 99
4.1.1 Sentence
4.1.2 인칭과 시제
4.1.3 대명사와 수동태
4.2 사태서술문과 명제문/ 112
4.2.1 사태서술(확인)문
4.2.2 명제문
4.2.3 사태서술문과 명제문의 대비
4.3 문장과 sentence/ 119
4.3.1 일본어의 '문장'
4.3.2 영어의 'sentence'
4.4 일본어 문장과 영어 문장의 대비/ 124
4.4.1 사태지향과 언어지향
4.4.2 문장과 sentence의 대비
4.4.3 언어구조의 차이를 의식하여 번역한다

제5장 번역의 실제 ─ 통사구조의 차이와 번역의 실제/ 139
5.1'일본어다움'다루기/ 141
5.1.1 서술문 다루기
5.1.2 화법적 표현 다루기
5.1.3 가역과 감역
5.1.4 표기법, 정형표현 활용
5.2 일본어로 번역하기/ 160
5.2.1 통사구조 보강
5.2.2 종속문 번역하기
5.2.3 시간적 배려
5.3 영어로 번역하기/ 169
5.3.1 일-영 번역의 즐거움
5.3.2 『오쿠노 호소미치』를 영어로 번역하기

제6장 텍스트 종류 ─ 일상회화는 전문용어보다 번역하기 쉽다?/ 181
6.1 텍스트 종류 / 183
6.1.1 실용론의 원칙
6.1.2 코드 제약
6.2 번역의 두 종류/ 186
6.3 전문용어 번역/ 192
6.3.1 자연과학생활과학 문헌 번역
6.3.2 사회과학 문헌 번역
6.3.3 철학 문헌 번역
6.4 문학 번역/ 205
6.4.1 미적 언어
6.4.2 문학 번역

[부록] 중요한 번역론언어론/ 229
맺음말/ 268
참고문헌/ 269
인명색인/ 272
색인/ 273
'언어학의 스캔들'
예부터 일본에서는 번역 문물이 중요한 존재였다. 일본문화는 그 심층부에서 외래문화와 절충 융합되면서 성립되었는데, 그 근간이 된 것이 외래 문물의 번역이었다. 번역은 일본문화에서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번역사의 지위도 서양에 비해 낮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역의 이론화는 그에 걸맞은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언어학이라는 서양의 과학에 있어서도 번역학은 오랜 기간 제대로 대접 받지 못했다. 번역의 이론화, 번역론을 과학으로서 구축하는 것이 좀처럼 어려웠기 때문이다. 언어학의 입장에서 보면 번역은 이론화할 수 없는 것이었고, 또 실제 번역하는 입장에서 보는 언어학은 추상론에 불과했다. 번역은 경험의 영역이지 이론의 영역이 아니라고 여겨졌던 것이다. 시의 번역은 번역사의 시적 재능의 문제이고, 희곡의 번역은 연극적 재능이 있는 사람이 하는 극본쓰기(Dramaturgy)이지 번역의 문제가 아니라는 식으로 말이다. 통역(구두 번역)의 분야는 아직도 이론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통역이 통역사의 자질이나 경험, 기술의 문제로 여겨지고 있으며, 동시통역시의 청취과정(인지)에 대해 인지심리학과의 연계를 고려하는 방향으로 이론화가 이루어진 정도이다.
언어학자 무냉은 '번역의 존재는 언어학의 스캔들이다'라는 도발적인 발언을 했다. 그는 『번역의 이론적 문제점들』(1963)이라는 훗날 번역론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논문에서 '언어학이라는 범주 안에서 번역의 이론적 가능성을 부정하거나 아니면 번역이라는 범주 안에서 언어이론의 유효성을 의심하거나 양자택일이 되어 버렸다'고 말하고 이 '스캔들'을 해결하기 위해 번역을 언어학 속에 포함시키려는 작업을 했다. 번역은 언어의 문제이며 번역론은 언어학의 한 분야라고 한 것이다. 그러나 번역을 단순하게 언어학의 문제라고 잘라 말하기에는 제한 조건이 너무나도 많다. 번역론은 언어학을 기반으로 하지만 언어학을 초월하는 부분을 가진 과학이기 때문이다.
번역의 방법으로는 주로 언어가 가진 논리 그 자체를 중시하는 방법과 언어논리를 초월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에 집착하면 '번역불가능론'에 빠질 위험이 있다.
번역론은 번역불가능론을 극복하는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새로운 번역과학에서는 '모든 것은 번역 가능하다'라는 원칙이 인정된다. '사각형 모양의 삼각형'처럼 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않다면 무엇이든 번역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참으로 듬직한 이론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일정한 절차를 밟으면 모든 문헌과 모든 텍스트를 간단히 번역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번역이 곤란한 경우, 번역이 불가능하다고 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분명히 있다.

번역능력 함양을 위한 모국어 이해
외국 서적을 번역본으로 읽었을 때에는 뭔가 흐릿했던 것이 원전을 보니 명확해지더라는 경험을 많이 하게 된다. 그렇다면 처음부터 원전을 읽는 것이 더 나으며 번역은 그 의미를 상실해 버린다. 왜 이렇게 되는 것일까? 구문 파악을 못했다던지 뉘앙스의 차이를 잘못 처리하는 등 어학능력의 문제도 있지만, 이러한 것들을 포함하여 근본적으로는 '이문화간 교류로서의 번역'이라는 점에 유의하지 않기 때문이다.
보다 질 높은 번역을 하기 위해서는 한 번쯤 번역이론을 배워 두는 것이 결국에는 지름길이 된다. 번역 불가능성에 대한 문제는 이론적으로 어떻게 설명되는가? 그보다 번역의 원리란 어떠한 것인가?
외국어 지식만으로는 번역론을 알 수 없다. 번역이 두 언어를 사용하는 것인 이상, 외국어를 번역하는 데 필요한 세세한 기술에 관심을 쏟기 이전에 모국어와 외국어의 언어적 특성을 한 번 비교해 둘 필요가 있다. 두 언어가 얼마나, 또한 어떤 의미에서 서로 다른가를 의식하는 것은 진정한 번역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도 유익할 것이다. 평소에 언어에 대해서 생각하는 사람은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이란 정말로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게 되는데, 이 문제의식은 번역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을 밝혀냄으로써 번역의 원리도 깨닫게 되는 것이다. 문화는 무엇보다도 언어에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에서는 우선 일본어에 대해서 번역론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도록 한다. 특히 영-일 통사구조를 자세하게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 책의 구성
번역론의 기본적인 테마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제시하면서 번역의 실전적 지식을 도출한다. 각 장의 처음에 '이 장에서 다룰 내용'을 정리하여 전체 개요를 제시했다.
제1장과 제2장에서는 번역이란 어떠한 행위인가를, 언어란 무엇인가라는 원점에서 논하고 있다. 제3장과 제4장에서는 번역을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으로 설명하고 일본어와 유럽 언어(영어 등)를 비교하면서 번역이 두 언어문화(세계관) 사이의 교류라는 점을 조명한다. 이 책이 단순한 번역기술이 아니라 언어론 내지는 이문화 커뮤니케이션론, 비교문화론으로 읽혀지는 것은 이 부분 때문이다. 제5장에서는 번역이론을 실전에 응용해 보고, 제6장에서는 대상 텍스트의 종류는 번역론상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텍스트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번역해야 하는지를 논한다. 특히 문학 번역에 대해서 자세히 고찰한다.
부록에서는 번역 이론을 더 깊이 알고자 하는 독자를 위해 중요한 번역론언어론을 소개한다. 코세리우는 번역론에 있어서 틀리기 쉬운 네 가지 포인트를 지적하고 있으며 실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하이데거의 고토바(Kotoba)론은 일본어와 유럽어를 비교한 것으로, 번역에 대한 흥미진진한 힌트를 담고 있다.

[출처]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목록

Quick Menu

  • 국가정보국가정보
    (Country)
  • 전문자료실전문자료실
    (Library)
  • Iberoamerica 학술지투고신청Iberoamerica
    학술지투고신청
    (Submission)
  • siele씨엘레
    (SIELE)
  • 웹진웹진
    (Webzine)
  • 라틴덱스라틴덱스
    (Latindex)
TOP
열기 버튼 닫기 버튼

하단메뉴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찾아오시는길
  • LAKIS는 인문한국(HK)/인문한국플러스(HK+)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에서 수행중임

1
2

부산광역시 금샘로 485번길 65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인문한국 연구소)

TEL : +82.51.509.6634,5  

FAX : +82.51.509.6681  

EMAIL : ibero@bufs.ac.kr  

COPYRIGHT 2023 LAKIS.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 부산외국어대학교
  • 부산외대 유럽미주대학 스페인어과
  • 부산외대 유럽미주대학 포르투갈(브라질)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