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Latin America 작성일 : 2015-01-15 15:37:38 조회수 : 422
국가 : 브라질 언어 : 한국어 자료 : 경제
출처 : 뉴스1
발행일 : 2015.01.15
원문링크 : http://news1.kr/articles/?2047054
2000년대 중반 높은 경제성장률을 통해 신흥 강국 도약을 꿈꿨던 브라질의 질주에 제동이 걸렸다. 과거 경제성장의 엔진 역할을 해주었던 내수 소비시장과 대중국 수출이 축소되며 추진력을 잃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오상봉)은 브라질 경제환경의 변화와 향후 전망을 분석한 '기로에 선 브라질 경제' 보고서를 15일 발간했다.

경제 호황기 브라질은 중산층 확대와 신용대출 증가로 인한 민간소비 붐이 일었다. 2012년 이후 가계부채가 증가함에 따라 내수 소비시장은 점점 힘을 잃었고, 작년에는 특히 높은 물가상승률과 헤알화 가치하락, 기준금리 인상 등 악조건이 맞물리며 2014년 5월 이후 소매판매 증가율이 2%를 넘지못하고 있다.

대중수출도 한계에 부딪혔다. 과거 브라질은 중국에 동, 니켈, 철강 등의 원자재를 수출하며 중국경제의 상승기류에 힘입어 경제성장을 이뤘다. 하지만 중국 경제가 둔화세로 접어들고 광물수입을 축소함에 따라 브라질의 대외적 성장요인이 사라지게 됐다.

특히 지난해 10월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헤알화 가치가 2005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하고 주가도 9월 고점대비 18% 급락하는 등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됐다.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호세프 2기 정부는 친 시장 성향의 경제팀을 새로 꾸려 정부지출 축소, 비즈니스 환경 개선 등의 변화를 약속하고 있지만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2013년 기준 브라질은 우리의 12위 수출대상국이며 한국은 브라질의 6위 수입대상국이자 8위 수출대상국이다. 우리나라는 현지생산 확대로 브라질에 각종 부품을 비롯한 자본재를 주로 수출하고 있지만 현지 경기 악화로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이 감소하며 악영향을 받고 있다.

호세프 2기 전반기의 경제성장률도 다소 저조한 1.5%(2015년)~2.5%(2016년)에 머물 것으로 전망돼 우리기업의 수출 및 진출여건이 어두운 상황이다.

전반적인 악조건 속에서도 일부 산업 및 제품의 시장기회는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일례로 화장품의 경우 전체 소비시장이 침체됐던 지난 9월과 10월 각각 10.4%, 9.8%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피부미용 및 헤어 케어(hair care) 제품에 대한 젊은 소비층의 관심은 경기침체와 무관하게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헤알화 가치가 하락한 틈을 타 적절한 투자대상을 모색,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대비하는 것 또한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다.

무역협회 유승진 연구원은 "약 1.4조 달러 규모의 소비시장을 보유한 브라질은 우리에게 굉장히 매력적인 전략시장이지만, 경제환경 악화로 당분간 위험요소가 크다"고 경고하면서 "그럼에도 각종 뷰티제품의 판매는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고 온라인 및 모바일 쇼핑몰은 몸집을 키우고 있는 만큼, 철저한 소비성향 분석을 통해 침체된 시장 속 숨어있는 기회를 발굴해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irocker@

Quick Menu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