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 로그인
  • 회원가입
  • 사이트맵
  • Languages
    • Korean
    • English
    • Español
    • Português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LAKIS)

중남미지역원(IIAS)
인사말 중남미지역원 소개 LAKIS소개 뉴스와 공지사항 HK사업 개요 HK+사업 개요 언론보도 지역원규정/매뉴얼 공동일정
Library
전문자료실 지역원 학술지 원문제공 지역원 연구총서 해외학술지 정보 연구자료/전문보고서
Academy
학술대회 콜로키엄 초청강연회 정기세미나 협동연구 전문가연구실 학술지투고신청
Training
학부연계전공 대학원 프로그램 해외파견프로그램 연구보조원 프로그램 현지문화체험단
Infomation
국가별 기초정보 최신동향 이슈분석 현장리포트 라키스 TV 주제별 DB 인물로보는 라틴아메리카 여행정보 라틴아메리카 여행기 웹진 라틴아메리카 이미지 갤러리 비주얼 지식정보
Network
협정기관 전문가네트워크 한인넷 유관기관
라틴아메리카 인문학센터
인문학센터 소개 평생교육 및 소외계층 인문교육 시민강좌 중남미 명저 읽기 세계시민교육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사회소통프로그램
중남미지역원(IIAS)
  • 인사말
  • 중남미지역원소개
  • LAKIS소개
  • 뉴스와 공지사항
  • HK사업 개요
  • HK+사업 개요
  • 언론보도
  • 지역원규정/매뉴얼
  • 공동일정
Library
  • 전문자료실
  • 지역원 학술지 원문제공
  • 지역원 연구총서
  • 해외학술지 정보
  • 연구자료/전문보고서
Academy
  • 학술대회
  • 콜로키엄
  • 초청강연회
  • 정기세미나
  • 협동연구
  • 전문가연구실
  • 학술지투고신청
Training
  • 학부연계전공
  • 대학원 프로그램
  • 해외파견프로그램
  • 연구보조원 프로그램
  • 현지문화체험단
Information
  • 국가별 기초정보
  • 최신동향
  • 이슈분석
  • 현장리포트
  • 라키스 TV
  • 주제별 DB
  • 인물로보는 라틴아메리카
  • 여행정보
  • 라틴아메리카 여행기
  • 웹진 라틴아메리카
  • 이미지 갤러리
  • 비주얼 지식정보
Network
  • 협정기관
  • 전문가네트워크
  • 한인넷
  • 유관기관
라틴아메리카 인문학센터
  • 인문학센터 소개
  • 평생교육 및 소외계층 인문교육
  • 시민강좌
  • 중남미 명저 읽기
  • 세계시민교육
  •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 사회소통프로그램

네비게이션

  • 회원가입
  • 로그인
  • 중남미지역원(IIAS)
    • 인사말
    • 중남미지역원소개
    • LAKIS소개
    • 뉴스와 공지사항
    • HK사업 개요
    • HK+사업 개요
    • 언론보도
    • 지역원규정/매뉴얼
    • 공동일정
  • Library
    • 전문자료실
    • 지역원 학술지 원문제공
    • 지역원 연구총서
    • 해외학술지 정보
    • 연구자료/전문보고서
  • Academy
    • 학술대회
    • 콜로키엄
    • 초청강연회
    • 정기세미나
    • 협동연구
    • 전문가연구실
    • 학술지투고신청
  • Training
    • 학부연계전공
    • 대학원 프로그램
    • 해외파견프로그램
    • 연구보조원 프로그램
    • 현지문화체험단
  • Information
    • 국가별 기초정보
    • 최신동향
    • 이슈분석
    • 현장리포트
    • 라키스 TV
    • 주제별 DB
    • 인물로보는 라틴아메리카
    • 여행정보
    • 라틴아메리카 여행기
    • 웹진 라틴아메리카
    • 이미지 갤러리
    • 비주얼 지식정보
  • Network
    • 협정기관
    • 전문가네트워크
    • 한인넷
    • 유관기관
  • 라틴아메리카 인문학센터
    • 인문학센터 소개
    • 평생교육 및 소외계층 인문교육
    • 시민강좌
    • 중남미 명저 읽기
    • 세계시민교육
    • 자유학년제 프로그램
    • 사회소통프로그램
  • 홈
  • Library
    • 중남미지역원(IIAS)
    • Library
    • Academy
    • Training
    • Information
    • Network
    • 라틴아메리카 인문학센터
  • 전문자료실
    • 전문도서관
    • 전문자료실
    • 지역원 학술지 원문제공
    • 지역원 연구총서
    • 해외학술지 정보
    • 연구자료/전문보고서

전문자료실

  • 즐겨찾기
  • share
    • facebookfacebook
    • TwitterTwitter
    • Twitter카카오스토리
    • Twitter네이버밴드
    • URL CopyURL Copy
  • 프린트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upload/userFile/2014/4/4/1522.jpg
상세보기 입니다.
저자 릴라 간디 역자 이영욱
출판사 현실문화연구 발행일 2000
총페이지 246 p 분야
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ISBN 8987057100 04300 청구기호 EM0000453679
자료실 등록번호 1522 색인청구기호 IAS 301.9 간229포이 c.3
북리뷰링크 http://blog.naver.com/lemon478/40088113150
TAB MENU
저자소개 역자소개 목차 서평
001. 식민지의 이후
002. 다르게 생각하기: 지성사에 대한 간략한 개요
003. 포스트식민주의와 새로운 인문학
004. 에드워드 사이드와 그의 비평
005. 포스트식민주의와 페미니즘
006. 공동체 상상하기: 민족주의 문제
007. 하나의 세계: 포소트민족주의의 전망
008. 포스트식민 문학
009.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의 한계
여전히 한국은 권위적이고 기존 질서에 변화를 꾀하는 많은 활동을 죄악시하며 이기적이라 매도한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이에 대해 아무런 비판의식도 가지지 못하고 있다. 혹자는 오히려 이를 두고 아름다운 전통이라 미화하기도 한다. 무엇이 문제인지 알지 못한다는 것, 무지야 말로 실로 무서운 것이 아닐 수 없다. 개혁의 의지가 있을지라도 무엇을 개혁해야 하는지를 알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이루어내지 못할 테니 말이다. 이는 우리의 거부할 수 없는 역사로부터 그 원인을 찾아야 한다. 과연 우리는 진정으로 해방되었는가? 고조선으로부터 시작하는 유구한 역사를 두고 본다면 일제 치하와 독재의 시기는 그리 길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그 영향력을 실로 어마어마해 어쩌면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그 당시의 질서에 의해 지배 받고 있다. 그것이 바로 ‘포스트식민주의’인 것이다. 우리가 포스트식민주의의 한 가운데 놓여 있음은 자명하다. 하지만 우리에게 Postcolonial Theory 라는 단어는 낯설게만 느껴진다. 이에 대해 학문적인 정의를 내리려는 시도가 있긴 했던가? 아니, 오히려 우리는 이를 지금까지의 경제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원동력으로 활용해온 듯싶다. 나와 다른 목소리에 대해서는 철저히 거세함으로써 통일을 추구하고, 경제성장 이외의 것에 대한 욕구는 없는 것 마냥 포장해버렸던 지난 날이 없었더라면 아마도 우리는 지금의 위치에 이르지 못했을 것이다. 국가를 절대시하고, 자유민주주의를 부르짖으며 역설적이게도 자유를 억압했던 것, 그것은 우리 스스로 만들어냈던 또 다른 식민지배였다.
이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19, 20세기 대부분의 아시아인들은 지배 받는 족속으로 살도록 길들여졌다. 저자는 (심지어) 인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간디, 프랑스의 지배를 받던 마르티니크 섬 출신의 혁명가 프란츠 파농의 운동 역시도 서구적인 무언가로부터 비롯되었음을 말한다. 실제로 그들은 그들의 국가를 지배하던 식민 본국으로부터 교육을 받았고, 이 경험을 통하여 식민주의적 문명화의 본질에 대해서 눈뜰 수 있었다. 파농의 언어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사르트르의 냄새에서부터 시작하여, 포스트식민주의를 기술함에 있어서 빠질 수 없는 푸코, 데리다 등의 이름 역시 서구의 현대 철학 그 중심에 서 있음을 고려한다면, 식민주의에 대한 반대 역시 식민주의의 또 다른 형태일 수 있다는 점에서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이러한 모호함으로 인하여 다수의 국가들은 ‘독립’을 넘어선 목표선을 긋지 못한 체 맹목적으로 서구의 것을 수용하기에 급급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우리 역시 해방자의 가면을 쓰고 등장한 미국을 절대적으로 신봉했으며, 심지어 우리의 역사를 일그러지게 만든 일본의 경제와 문화마저도 그대로 우리 안에 수용했으니 말이다.
서구적인 것이라면 좋은 것으로, 힘을 가진 자의 것이라면 정당한 것으로 치부하는 흐름 속에서 무엇이 옳고 또 무엇이 그른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은 사라지게 된다. 마음 속으로는 격렬히 열을 내면서도 공식적으로는 받아들이는 모호한 상태, 그것이 과거와 같은 정치적, 군사적인 의미의 지배는 아니지만, (우리 스스로 그 식민지배 질서를 공고히 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더 견고한 형태의 지배가 아닐까 생각해보게 된다.

[출처]
최유경

목록

Quick Menu

  • 국가정보국가정보
    (Country)
  • 전문자료실전문자료실
    (Library)
  • Iberoamerica 학술지투고신청Iberoamerica
    학술지투고신청
    (Submission)
  • siele씨엘레
    (SIELE)
  • 웹진웹진
    (Webzine)
  • 라틴덱스라틴덱스
    (Latindex)
TOP
열기 버튼 닫기 버튼

하단메뉴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찾아오시는길
  • LAKIS는 인문한국(HK)/인문한국플러스(HK+)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에서 수행중임

1
2

부산광역시 금샘로 485번길 65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인문한국 연구소)

TEL : +82.51.509.6634,5  

FAX : +82.51.509.6681  

EMAIL : ibero@bufs.ac.kr  

COPYRIGHT 2023 LAKIS.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
  • 부산외국어대학교
  • 부산외대 유럽미주대학 스페인어과
  • 부산외대 유럽미주대학 포르투갈(브라질)어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