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 라키스 | 작성일 : 2025-07-11 13:18:01 | 조회수 : 11 |
국가 : 브라질 | 언어 : 한국어 | 자료 : 경제 |
출처 : 연합뉴스 | ||
발행일 : 2025-07-11 | ||
원문링크 : https://www.yna.co.kr/view/AKR20250711004000087?section=international/centralsouth-america | ||
원문요약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초고율 '관세 폭탄'을 맞게 된 브라질이 국가 경제에 미칠 충격파 완화를 위한 범부처 비상대책 마련에 나섰다. |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초고율 '관세 폭탄'을 맞게 된 브라질이 국가 경제에 미칠 충격파 완화를 위한 범부처 비상대책 마련에 나섰다. 20여년간 미국과의 교역에서 발생한 누적 적자 규모가 900억 달러(123조원 상당)를 웃도는 상황에서 '불공정 무역국 누명'을 쓰게 된 만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결정의 불합리성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여론전을 강화하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브라질리아에 있는 대통령궁에서 브라질산 제품에 대한 미국의 50% 관세 부과 예고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 국무회의를 주재했다고 CNN 브라질과 G1 등 현지 언론이 보도했다. 내각 구성원 전원을 대상으로 한 이날 회의에서 룰라 대통령은 부처별로 대응책을 조정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조처를 곧바로 발표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룰라 대통령 최측근인 페르난두 아다지 재무장관은 이날 CNN 브라질 등을 통해 중계된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관세부과) 상황이 지속 가능하다고 보진 않는다"라며, 트럼프의 발표에 "경제적 합리성이 없다"고 강변했다. 브라질 당국은 미국 정부에서 8월 1일에 실제로 관련 조처를 시행하기 전에 브라질 반응을 발표하는 것은 '전략적 실수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며 신중한 대응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G1은 브라질 외교부를 인용, "관세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모든 업계의 의견을 듣고 협의하며 대응 방안을 결정해 국가 경제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게 룰라 대통령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대응책 우선순위로는 미국과의 직접 협상을 통한 관세율 조정,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지난 4월 룰라 대통령이 서명한 경제 호혜주의 법에 따른 양자 무역협정 효력 중단 등이 거론되고 있다. 브라질 당국은 특히 미국의 관세 부과를 논리적으로 반박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여론을 환기하기 위한 카드도 검토하는 분위기다. 아다지 재무장관은 이날 취재진에 양국 교역액 '숫자'를 부각하며 트럼프 대통령 서한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에둘러 비판했다. 그는 "지난 15년간 미국을 상대로 한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적자액이 4천억 헤알(99조원 상당)을 초과했다"며 "미국의 관세 부과를 정당화할 수 없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브라질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2009년부터 올해 6월까지 브라질의 대미 교역 누적 적자액은 902억 달러(124조원 상당)에 이른다. 이 기간 내내 브라질은 미국을 상대로 적자를 기록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홈페이지를 보면 지난해의 경우 미국과 브라질 간 교역액은 920억 달러(126조원 상당)로 추산되는데, 미국은 74억 달러(10조원 상당)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돼 있다. 이는 2023년보다 31.9%(18억 달러·2조원 상당) 급증한 수치다. 결국 브라질에 대한 미국의 관세는 커피, 오렌지주스, 설탕, 쇠고기 등 필수 식료품에 대한 미국 내 공급가를 높여, 전체적으로 물가에 악영향을 미치는 '제 발등 찍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로이터통신은 4명의 무역 관계자를 인용, "특히 커피의 경우 미국으로의 수출은 사실상 중단될 것"이라며 "브라질 측에서는 원두 판매처를 유럽 또는 아시아로 돌릴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브라질 수출업체(Cecafe)에 따르면 지난해 60㎏ 들이 원두 포대 814만개를 미국으로 수출했는데, 이는 2023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수치라고 한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이자 주요 오렌지주스 수출국이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커피 ⅓과 오렌지주스 절반가량은 브라질산이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인스타그램에는 "브라질은 주권 국가"라는 등의 포르투갈어로 된 '댓글 폭격'이 이어졌다. 포르투갈어를 모국어로 쓰는 브라질 주민들의 집단행동으로 보이는데, 이 때문에 한때 일부 댓글 작성 기능이 제한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
이전글 | 나랏빚 쌓인 아르헨 '22조원 배상액 마련' 美판결에 항소 |
---|---|
다음글 | 브라질 룰라 "美 50% 부과하면 우리도 부과"…강공카드 꺼내나(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