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계획서 ◈  과 목 명 | : 현지조사방법론 |    과목번호 | : LAB105 |    주야구분 | : 주간 |    담당교수 | : 노용석 |    학점/시수 | : 3학점/3시간 |  
   | 1. 교과목유형 |  | 이론( )   이론과 실험실습(O)   실험,실습,실기( )    |  
 
 
 | 2. 수업방법 |  강의(O)   발표(O)   토론(O)   세미나(O)   실험실습실기( )   외국어전용( )   팀티칭( )   기타( )    기자재활용-시청각( )   기자재활용-PC( )   기자재활용-기타( )   사이버강좌( )   혼합수업강의( )    |  
 
 
 | 3. 강좌의 목적 |  | 인류학 및 지역학의 개요를 이해하는데 필수적 요소 중 하나인 현지조사방법론의 기초적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 현지조사 체험을 통해 방법론을 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 4. 강좌의 목표 |  - 인류학의 현지조사 방법론 등장배경 및 이론적 부분에 대한 이해  - 현지조사 방법론의 부분별 특징에 대한 이해  - 실제 현지조사 방법론의 수행 및 체화 |  
 
 
 | 5. 강좌 운영 방법 |  - 교수의 방법론 강의  - 개인별 현지조사 보고서 작성(수업시간 중 차후 과제물로 제출)   - 수업 시간 중 특이한 부분에 대한 토론 및 세미나 진행 |  
 
 
 | 6. 교재 및 참고 문헌 |  | 줄리앙 크레인 저, 한경구 외 역, 1997, '문화인류학 현지조사방법론', 일조각 |  
 
 
 
 
 | 8. 성적 평가 방법 |  - 중간고사 25%  - 기말고사 25%  - 현지조사 과제물 30%(한 학기 1과제)   - 출석 20% |  
 
 
 | 주차 | 강의내용 | 방법 | 비고 |  | 제1주 | 강좌의 소개 및 수업방향 소개  - 현지조사 관련 영상 시청 |   |   |  | 제2주 | 인류학의 태동 및 주요 연구방법론  - 인류학의 패러다임  - 문화상대주의 |   |   |  | 제3주 | 현지조사의 필요성 제기  - 인류학 기능주의의 문제제기 |   |   |  | 제4주 | 초보적 현지조사 방법론  - 마을조사의 방법론  - 개별적 조사대상 선정의 기초작업 |   |   |  | 제5주 | 참여관찰이란 무엇인가?  - 현지조사 연구방법론으로서의 참여관찰 |   |   |  | 제6주 | 현지조사 시 고려대상(1)  - 친족과 혼인의 문제 |   |   |  | 제7주 | 현지조사 시 고려대상(2)  - 성과 문화 |   |   |  | 제8주 | 중간고사 |   |   |  | 제9주 | 현지조사 시 고려대상(3)  - 언어와 커뮤이케이션 |   |   |  | 제10주 | 현지조사 시 고려대상(4)  - 권력과 사회통제 |   |   |  | 제11주 | 현지조사 시 고려대상(5)  - 상징과 의례 |   |   |  | 제12주 | 현지조사 시 고려대상(6)  - 경제 |   |   |  | 제13주 | 개별 현지조사 결과물 발표시간 |   |   |  | 제14주 | 개별 현지조사 결과물 발표시간 |   |   |  | 제15주 | 보강주간 |   |   |  | 제16주 | 기말고사 |   |   |  
 
 
 
 
 
 
 
 
 | 13. OFFICE HOURS |  | 1.상담장소 및 상담시간대 |  | 화요일 16:00-17:00 외성관 107호 중남미지역원 |  | 2.상담시간 : 3시간 |  
 
 
 ○ [성적 평가 지침] 
     1. 상대평가     - 성적평가는 상대평가를 원칙으로 하며, 1학년과 고학년을 각각 분리하여 상대평가 함.     - 등급별 비율
 |    | | 등급 | 비율 | 비고 |  | A+, A | 35% 이하 | 70% 초과 불가 |  | B+, B | 45% 이하 |  | C+ 이하 | 30% 이상 |   |  
  |  
 
  |     2. 절대평가     가. 대상 과목 및 학년       - 수강생이 10명 미만인 교과목.        - 수강생이 10명 이상이지만, 학년(1학년 / 2,3,4학년) 별로 분리시 10명 미만이 되는 학년     나. 비율 : A등급 이상이 40%를 초과할 수 없음.(소숫점이하는 절사)
  |  
  																										
												 |